기사 메일전송
한국소비자원 "공기청정기, 유해가스 제거효율·소음 등 성능 차이 있어"
  • 박철진 기자
  • 등록 2019-11-07 14:39:53
  • 수정 2020-09-11 17:04:00

기사수정
  • 필터교체비 샤오미, 전기료 삼성 제품 가장 비싸
공기청정기 시험대상 제품
공기청정기 시험대상 제품. (자료=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이 객관적인 상품 품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공기청정기 9개 브랜드, 9개 제품을 대상으로 표준사용면적, 유해가스 제거효율, 소음,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7일 한국소비자원 시험 결과에 따르면 유해가스 제거효율, 소음 등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고 필터교체 비용은 제품 간 최대 3.1배, 연간 전기요금은 최대 1.9배 차이를 보였다. 감전·누전, 필터의 유해성분 등 안전성에서는 전 제품 이상이 없었다.

0.3㎛의 미세먼지를 이용해 제품에 표시된 표준사용면적에 대한 미세먼지 제거성능을 확인한 결과, 모든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다. 표준사용면적은 28.8㎡ ~ 42.5㎡로 제품별 차이가 있었다.

새집증후군 유발물질로 알려진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 생활악취로 알려진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 초산 등 5개 가스를 제거하는 성능을 평가한 결과, 4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최대 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7개 제품의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감전·누전 등의 전기적 안전성, 오존 발생량 등을 시험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소비전력, 에너지효율등급 등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고 환경부와 협업을 통해 공기청정기 필터의 살균제 성분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환경부에서는 CMIT, MIT, OIT를 공기청정기용 필터 자체의 항균/멸균/방부/보존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없도록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함유금지물질로 지정할 예정이다.

필터를 1년 사용한 후 교체 시, 위니아 제품이 3만50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필터교체주기가 짧은 샤오미는 1년에 2회 교체할 경우 11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공기청정기 가동 시 발생하는 전기요금은 쿠쿠 제품이 연간 90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삼성 제품은 1만7000원으로 가장 비쌌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