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전 3분기 연속 적자, 김종갑 사장 퇴진해야
  • 이경민 기자
  • 등록 2019-08-14 18:00:14
  • 수정 2019-08-14 18:02:34

기사수정

한국전력공사가 3분기 연속 적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원전이용률의 대폭적인 증가로 전분기보다는 적자폭이 줄었는데도 한전은 지금까지의 대폭적인 적자원인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때문은 아니라고 애써 해명하고 있다. 한전 주변에서는 적자의 책임이 있는 김종갑(사진) 한전사장의 즉각적인 퇴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국전력은 지난 2·4분기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 298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손실 폭은 전년 동기(6871억원)보다 56%(3885억원), 전분기(6299억원)보다 53%(3313억원) 줄었다. 다만 올 1·4분기 영업손실이 2010년 이후 최대여서 상반기 전체 손실도 전년보다 많은 928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2년 상반기(2조3020억원 적자) 이후 7년 만에 최대다.

김갑순 한국전력 재무처장은 "2·4분기는 원전이용률이 상승해 자회사 연료비 등 영업비용이 일부 감소했다. 그러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석탄발전 감축과 여전히 높은 연료가격 등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전기판매수익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당기순손실도 줄었다. 2·4분기 당기순손실은 4121억원으로 전년 동기(9185억원)보다 55%(5064억원), 전 분기(7612억원)보다 46%(3491억원) 감소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당기순손실이 1조1733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1690억원)와 큰 차이가 없다.

한전은 영업손실이 개선된 이유를 △원전이용률 대폭 상승 △발전용 액화천연가스(LNG)가격 하락 등으로 발전 자회사 연료비와 민간구입비가 5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처장의 말대로 원전이용률이 높아질수록 적자폭이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구체적으로 원전 이용률은 지난 2016년 수준(84.3%)으로 회복됐다. 올해 2·4분기 기준 82.8%다. 강화된 원전안전 조치에 따른 계획예방정비 증가로 원전이용률은 지난해 1·4분기 50%대까지 하락했었다. 이후 원전이용률은 꾸준히 상승추세(1·4분기 75.8%→2·4분기 82.8%)다. 이에 따라 발전자회사 연료비는 3000억원 감소했다.

김 처장은 "한전의 실적은 원전이용률 이외에도 국제 연료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2008년 원전이용률 90%를 넘었으나 고유가로 인해 사상최대 영업적자를 냈었다. 2016년에는 원전이용률 80% 아래로 떨어졌으나 국제유가 안정으로 사상최대 영업흑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료가격이 낮은 석탄발전 이용률은 2·4분기 기준 58.6%로 전년동기(65.4%)보다 소폭 하락했다. 한전의 발전자회사 석탄발전량은 43.1TWh로 10.1% 감소했다. 이는 봄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후발전기 가동중지(삼천포 5,6호기, 보령 1,2호기)와 예방 정비확대 때문이다.

한전의 2·4분기 전력구입비는 2000억원 감소했다. 민간 구입량 감소(3.6%)와 LNG 개별소비세 인하(2019년 5월 1kg당 91→23원) 효과 등에 따른 발전용 LNG가격 하락으로 전력시장 가격(SMP)은 소폭 하락한 영향이다.

한전이 올 하반기에 영업실적을 회복할 지 주목된다. 통상 3·4분기는 여름철 전력판매량이 늘어 전력판매수익이 가장 많이 늘어난다. 지난해 3·4분기엔 1조3952억원 흑자를 냈다. 김 처장은 "3·4분기는 계절별 차등 요금체계 영향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분기 영업이익을 낸다. 다만 무역분쟁 등으로 국내 경제성장률을 비롯, 국제 원자재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어 재무 전망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전의 계속된 영업손실은 전기요금 체계 개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전은 소득과 무관하게 한달 전기사용량이 200kWh 이하인 가구(누진 1구간)에 4000원 한도로 요금을 깎아주는 '필수사용공제' 제도 개정을 비롯해 주택용 계절별·시간별 요금제 도입 등 내년 상반기까지 전기요금 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한다. 또 올해부터 여름철 주택용 누진구간 상시 확대에 따른 부담(2018년 사용량 기준 2800억원)도 가중된다. 한전은 지난해 2000억원대 영업손실로 2012년 이후 6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