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법무부장관에 조국, 靑 10개 장관급 인사 단행
  • 최원영 기자
  • 등록 2019-08-09 16:06:39
  • 수정 2019-10-30 15:14:12

기사수정
  • 자유한국당 조 전수석의 법무부장관 내정에 강력 반발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조국(54)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법무부 장관, 최기영(64)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지명하는 등 10개 부처 및 위원회의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개각은 7명의 장관을 교체한 지난 3·8 개각 이후 약 5개월 만에 이뤄졌다. 이에 따라 조 장관후보자는 민정수석에서 물러난 뒤 14일 만에 문 대통령으로부터 다시 부름을 받게 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4명의 장관과 6명의 장관급 등 10명의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내각 장관으로는 법무부·과기정통부 장관 외에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여성가족부 장관이 교체됐다. 농식품부 장관에는 김현수(58·행정고시 30회) 전 차관이 지명됐고, 여가부 장관에는 이정옥(여·64) 대구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가 내정됐다.

장관급인 공정거래위원장에는 조성욱(여·55)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금융위원장에는 은성수(58·행시 27회) 한국수출입은행장, 방송통신위원장에는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인 한상혁(58·사법시험 40회) 법무법인 정세 대표변호사가 각각 지명됐다.

문재인 정부에서 장관급으로 격상된 국가보훈처장에는 박삼득(63·육군사관학교 36기) 전쟁기념사업회 회장, 주미 대사에는 외교관 출신인 이수혁(70) 더불어민주당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에는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세현(74)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이 각각 발탁됐다.

고 대변인은 이날 인사 브리핑에서 “이번 개각은 도덕성을 기본으로 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를 우선 고려하면서 여성·지역 등 균형도 빠트리지 않았다”며 “오늘 개각으로 문재인 정부 2기 내각이 사실상 완성됐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장관에는 애초 유영민 장관의 유임이 유력했지만,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 국면에서 반도체 전문가인 최 지명자의 기용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사는 지난 3월 8일 7개 부처에 대한 개각 이후 5개월여 만이며 집권 3년차 들어서는 처음이다. 집권 중반기를 맞아 부처 수장 교체를 통해 분위기를 쇄신하고 국정 운영의 흔들림 없는 추진을 위한 새로운 추동력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개각 폭이 두 자릿수 규모까지도 거론됐지만 후임자 물색 난항과 현안 등의 이유로 일부 장관들이 유임되면서 중폭 규모에 그치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올 하반기나 내년 초에 유임된 의원 출신 장관 등을 대상으로 한 추가 개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신임 국립외교원 원장에 김준형 한동대 교수를 임명하는 차관급 인사도 실시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조 전 수석의 법무부 장관 내정에 대해 "야당 무시를 넘어서 야당과 전쟁을 선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금융시장 점검 현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을 추진한 조 전 수석을 임명하는 것은 검찰 장악에 이어서 청와대 검찰을 하나 더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공수처법이 의미하는 것은 제2의 청와대 검찰을 만들겠다는 것으로, 패스트트랙과도 무관하지 않고, 신독재국가 완성을 위한 검찰의 도구화"라고 주장했다.


나 원내대표는 또 "민정수석으로서는 업무능력에서 낙제점을 받았고, 공무원들의 휴대폰을 마음대로 사찰하는 '영혼 탈곡기'라는 말이 있었던 것처럼 인권에 대한 기본적 인식 자체가 잘못됐다"며 "법무장관으로 내정된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아무리 뭐라 해도 임명을 강행할 것으로 보이는데 청문회 과정에서 낱낱이 밝히겠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