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토부,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통계 발표
  • 박철진 기자
  • 등록 2020-03-26 11:50:41
  • 수정 2020-07-15 16:49:32

기사수정
  • 전체 구역수 306개, 총 면적 109.3㎢ 도시개발사업 시행 중
전국 도시개발사업 추진 현황
국토교통부는 17개 광역지자체 등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사진은 전국 도시개발사업 추진 현황.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도시개발법’시행 이후 현재까지 지정된 전국 도시개발구역의 수는 524개, 총 면적은 167.5㎢로 여의도 면적의 약 58배 규모이며 이중 218개 사업이 완료되고 306개는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신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개로 전년도인 2018년도와 동일한 반면, 지정 면적은 9.4㎢로 전년도에 비해 약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남양주 양정역세권 복합단지개발사업 등 일부 대규모 구역 지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전체적으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규모의 소형화 추세는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해 신규로 지정된 단지·시가지조성사업의 총 지정 면적 38.2㎢ 중 도시개발구역의 지정비율은 24.6%로 종전에 비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의 신규 지정이 크게 증가해 전체적인 신규 지정 면적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에는 부산 일광구역, 경기 고양 식사구역 등 29개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되어 주거, 상업, 업무용지 등 8.21㎢ 규모에 이르는 도시용지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연간 약 7.0㎢의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따른 파급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1.7조 원의 자금 투입으로 4.8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2.1만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신규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약 3.4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4조 원 발생으로 총 4.8조 원에 이르는 경제유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신규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연간 일자리 창출효과로 고용유발은 1.5만명, 취업유발은 2.1만명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사업규모는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가 172개, 54㎢ 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충남, 경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 지정 구역의 경우, 수도권에서 19개, 5.3㎢가 지정되어 전년도 2.1㎢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17개, 4.1㎢가 신규 지정되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사업시행 방식은 수용 48.4%, 환지 49.3%, 수용과 환지방식을 혼용해 시행하는 혼용방식이 2.3%로 나타났으며 사업시행자별로는 민간시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68.0%로 민간사업의 비중이 공공시행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개발유형으로는 주거형 사업이 비주거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거·상업·산업 등 복합개발 형태의 비주거형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여 줬다.

시행주체별로는, 민간사업자의 개발유형은 주거형이 87.5%를 차지해 주거형 위주의 개발이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공공시행자는 주거형 61.3%, 비주거형 38.7%로 구성되어 민간에 비해 다양한 개발유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역 지정 이후 사업완료까지는 평균 약 6.3년이 소요됐고 3년이하 17.9%, 4~5년 33.0%, 6~10년 36.7%, 11~15년 11.9%, 16년 이상 소요된 사업은 0.5%로 조사됐다.

사업방식별 시행기간을 보면, 수용방식은 평균 5.2년, 환지방식은 평균 7.5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용방식이 환지방식에 비해 사업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524개 구역 중 60.9%가 관할 행정구역 내 기존 도심으로 부터 5㎞ 이내에 입지하고 있고 5㎞ 이상 ~ 10㎞ 미만이 24.0%, 10㎞ 이상 ~ 20㎞ 미만이 13.4%, 20㎞ 이상은 1.7%에 불과해 대부분 기존 도심에 인접해 입지가 결정되고 있으며 도심과 개발입지 간 평균거리는 5.1㎞인 것으로 분석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