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해를 맞아 ... 고귀함의 원천은 무엇일까?
  • 김상민
  • 등록 2019-12-31 16:08:32
  • 수정 2019-12-31 16:12:03

기사수정
  • 노력이 배신하는 시대? 그렇다고 노력하지 않으면 결실도 전혀 없다 세상은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과 ‘불만 많고 다투는 사람들’로 나뉜다 영화 킹스맨에서 “진정 고귀한 것은 과거…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고? 그렇지 않아요. 노오~~~력해봤자 안 되는데... (20대의 74%가 응답)”

2019년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값어치가 떨어진 단어가 노력(努力)이라는 단어가 아닐까 생각한다. ‘엄마 찬스’로 대학을 가고, ‘아빠 찬스’로 장학금을 받고, ‘부모 찬스’로 집을 사고...

집값이 폭등하자, 전세나 월세로 사는 서민과 중산층들은 물론 사회 초년생들의 좌절감은 더욱 심해졌다. 원인은 정부의 헛발질 부동산정책인데도 그건 보지 않은 채 ‘가진 자들에 대한 원망과 분노’만 표출하고 있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과연 그렇게 남 탓만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일까?

오래전 방영된 TV 광고에서 한 학생이 우등생에게 물었다. “공부 잘하는 비법이 뭐야?” 우등생이 책에서 눈도 떼지 않은 채 답했다. “공부나 해?”

2019년 대학 입시에서 수능 만점을 받는 학생의 인생 좌우명은 단순했다.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No pain, No gain).” 남들보다 머리가 뛰어나게 좋지도 않고, 가정 형편도 어려우니 남은 선택지는 ‘노력이라는 고통’ 뿐이었다는 그의 답변이었다.

재능 중에서 가장 으뜸가는 재능은 ‘노력’이라고 한다. 소설을 쓰는 사람은 한자 한자 채우다보니 어느덧 장편을 완성하게 되고, 대작은 붓칠 한 번 한 번이 더해지면서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다.

<천지창조>가 그려진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은 길이 40.93m, 폭 13.41m의 크기이다. 높이도 20.7m에 달한다. 미켈란젤로는 거기에 프레스코화를 그렸다. 프레스코화는 벽에 바른 회반죽이 마르기 전에 물감을 빨리 칠해야 완성된다. 20m가 넘는 천장에 프레스코화를 그려 넣는 자체가 엄청난 노역이 아닐 수 없다. 미켈란젤로는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제대로 씻지도 못하면서 <천지창조>를 그렸다. 관절염과 근육통을 앓았고 떨어지는 물감 때문에 눈병까지 생겼다. 4년여의 노력 끝에 미켈란젤로는 후세에게 <천지창조>라는 불후의 걸작을 남겨줬다.

‘죽어라고 노력해봤자 흙수저는 금수저가 될 수 없다’는 말이 유행한다. ‘개천에서 용이 나는 시대는 지났고, 개천의 용과 결혼하면 개천으로 끌려 간다’는 씁쓸한 우스갯소리도 있다.

그렇지만, 금수저가 마냥 금수저인 것도 아니고, 흙수저가 마냥 흙수저로 남는 것은 아니다. 금수저의 최대 적은 ‘현실에 안주하는 안일한 마음’일 것이고, 흙수저의 최대 적은 ‘노력도 하지 않은 채 그냥 주저앉는 일’일 것이다. 자신의 처지와 환경이 약하면 노력한다고 해서 성공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겠지만 그렇다고 전혀 노력을 하지 않는 것과 비교할 때 운명 자체가 달라진다는 얘기다. 영국인들이 가장 존경한다는 처칠도 “체력이나 지능이 아니라 노력이야말로 잠재력의 자물쇠를 푸는 열쇠”라고 설파했다.

수학 공식으로 이를 풀어보면 간단히 이해할 수 있다. 매일 1%씩 자신을 변화시킨다고 생각해보자. 하루가 지나면 1.01이 되는데 1.01을 365번 곱하면 즉 (1.01)³⁶⁵=37.7이 되는 반면, 1.00을 365번 곱하면 즉 (1.00)³⁶⁵를 해도 1이 된다. 조금씩 발전하는 것과 아무런 발전이 없는 것의 어마어마한 차이다.

영화 <킹스맨>의 가장 유명한 명대사는 “매너가 신사를 만든다 (Manners maketh man)”일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좋은 대사가 있다. 바로 고귀함에 대한 이야기다. “타인보다 우수하다고 해서 고귀한 게 아니다. 진정 고귀한 것은 과거의 자신보다 더 우수해지는 것이다. (There is nothing noble in being superior to your fellow man. True nobility is being superior to your former self.)”

세상 사람들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성공했거나 성공을 위해 꿈꾸는 사람들’과 ‘불만 많고 다투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것이다. 2019년은 어찌 됐든 지나갔고, 이제 와서 후회한들 바뀔 게 아무것도 없다. 그렇다면 경자년 2020년을 맞아 나는 두 부류의 사람 가운데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